안녕하세요 마이클 유저 여러분! 이번 주 눈과 한파가 겹치면서 도로가 많이 미끄럽다고 느껴지시지 않았나요?
눈길이야 사전에 단단히 준비한다지만, 갑작스럽게 마주치는 '보이지 않는 빙판길' 대처는 힘들 수 있는데요.
오늘은 도로 위의 암살자라고도 불리는, 보이지 않는 빙판길 블랙 아이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2022.12.16
안녕하세요 마이클 유저 여러분! 이번 주 눈과 한파가 겹치면서 도로가 많이 미끄럽다고 느껴지시지 않았나요?
눈길이야 사전에 단단히 준비한다지만, 갑작스럽게 마주치는 '보이지 않는 빙판길' 대처는 힘들 수 있는데요.
오늘은 도로 위의 암살자라고도 불리는, 보이지 않는 빙판길 블랙 아이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블랙 아이스'는 아스팔트 위 눈과 습기에 매연, 먼지가 섞여 검게 얼어붙은 얼음막으로 육안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눈길보다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한 연구조사에 따르면 블랙 아이스 도로의 제동거리가 일반 노면의 14배, 눈길의 약 6배나 된다 하니, 겨울철 연쇄 추돌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돼도 이상하지 않겠네요.
블랙아이스는 표면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곳에서 주로 생기는데요. 때문에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겨울철 출근길에 터널, 고가도, 그늘진 곳 인근에서 운전하시게 된다면 각별히 주의해 주세요!
겨울철 운전 길, 평소와 달리 미끄러짐이 느껴지신다면 마이클이 알려드리는 블랙 아이스 사고 예방법을 따라주세요!
블랙 아이스에선 제동 거리가 최대 14배 길어질 수 있기에, 규정속도보다 20~50% 감속하고, 평소 2배 이상의 안전거리를 확보해, 미끄러짐 사고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갑작스러운 조작으로 차가 미끄러지거나 스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급출발,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의 '4급 운전'은 자제해 주세요!
타이어 공기압
온도가 낮아지면서 타이어 공기압도 함께 낮아지기에 TPMS 경고등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겨울철엔 타이어 공기압을 평소에 10% 정도 더 채워주면 적정 공기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윈터 타이어
윈터 타이어는 기온이 떨어질수록 유연해지는 고무 원료를 사용해 일반 타이어의 2배가량 높은 제동력을 자랑합니다. 아직 운전이 미숙하다면, 선택이 아닌 필수겠죠?
스노우 체인
윈터 타이어 구매가 부담스럽다면, 스노우 체인류도 고려해 보세요. 시중에 사슬형 · 스프레이형은 물론, 간편하게 붙이는 패치형 체인까지 판매되고 있다 하니 본인 성향에 맞춰 사용해 주시는 것도 좋겠네요.
만반의 준비에도 차량이 미끄러진다면 상황에 따라 2가지 대처법을 따라 해주세요.
차의 미끄러짐이 느껴지기 시작한다면, 핸들을 꽉 잡아 통제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본능적으로 한 번에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여러 번 끊어 밟는 '펌핑 브레이크'를 해줘야 통제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통제력을 잃고 미끄러지기 시작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이때는 '진행방향' 쪽으로 핸들을 살짝만 돌려주고 펌핑 브레이크를 밟습니다. 여기서 '진행방향'이란 '차량이 미끄러져 나아가고 있는 방향'으로서 차량의 회전 방향과는 다릅니다. 이렇게 해야만 차량이 돌지 않고 통제력을 회복할 수 있다고 해요.
여러 사례처럼 블랙 아이스 위에서의 사고는 다중 추돌 사고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때문에, 사고가 발생했다면 가능한 현장에서 최대한 멀리 벗어나 안전지대로 향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부쩍 미끄러운 이번주 도로, 마이클 유저 여러분 모두 안전한 운전길 되시길 바라며, 다음주에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뵐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