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매일 쓰는
자동차 버튼 5가지
2023.08.25
알아두면 매일 쓰는 자동차 버튼 5가지, 이번엔 내 차의 공조기 버튼입니다. 운전석 전면부에 손만 뻗으면 쉽게 닿는 공조기 버튼들! 이렇게 운전자와 가까이 설계한 이유는 그만큼 많이 쓰고, 필요한 기능이기 때문이겠죠.
실제로 운전자들이 많이 쓰는 차량 공조기 버튼 5가지, 마이클이 쉽게 알려드릴게요!
1. 미세먼지 막아주는 내기순환 버튼
우선 특이한 모양을 가지고 있는 이 버튼부터 알려드릴게요!
마치 도로 위 그려진 유턴 지시 모양과 비슷한 화살표가 그려진 이 버튼은 그 모양 때문에 '유턴 버튼', '유턴할 때 누르면 유턴이 더 잘 된다'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는데요. 당연하게도 유턴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이 버튼의 정식 명칭은 '내기 순환 버튼'으로 버튼을 눌러 작동시키면 외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탁한 내부공기를 바깥으로 내보내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심하거나, 교통체증이 심해 주변 차량에서 배기가스가 나올 때 등 외부 공기가 좋지 않은 모든 상황에 쓰일 수 있습니다. 심지어 시골길을 지나다가 분뇨 냄새를 만났을 때도 내기순환모드를 사용하면 어느정도 냄새의 유입을 차단해 줍니다.
TIP. 내기순환 버튼 더 잘 쓰는 법
출처 : 현대자동차 매뉴얼
내기순환 버튼을 2초간 누르고 있으면 공기청정모드로 변경되는 차종이 있습니다. 별도 공기청정모드 버튼이 없는 경우 해당 방법으로 깨끗한 실내공기를 유지해보세요!
2. 사계절 쾌적하게 해주는 A/C 버튼
A/C라고 적혀있는 버튼, 어떻게 읽으시나요?
이 버튼은 Air Conditioning의 약자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에어컨, 맞습니다!
하지만 A/C 버튼을 여름에만 누르는 건 아닌데요. 가정집 에어컨도 그렇듯이 자동차의 에어컨도 제습 기능도 있기 때문에 겨울철 앞 유리 습기 제거에도 유용하게 쓰입니다.
또한 봄이나 가을에도 내부 공기가 답답하게 느껴져서 창문을 내리고 싶지만, 비가 오거나 미세먼지가 심해 그럴 수 없을 때, A/C버튼을 눌러 내부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TIP.
다른 버튼을 쓸 때도 중요한 A/C 버튼
A/C버튼을 눌러야 온도, 습도 조절 기능이 작동되기 때문에 자동 온도습도 조절 (AUTO) 기능, 앞유리 습기제거 기능을 쓸 때에도 꼭 켜져있어야 합니다.
3. 알아서 잘해주는 AUTO 버튼
AUTO 버튼은 그 뜻 그대로 '자동'으로 내 차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해 줍니다. 자동차 습기나 에어컨 냄새로 고민하고 있는 분들도 AUTO 버튼의 사용을 적극 권장 드립니다.
제조사 매뉴얼에서도 계절과 관계없이 AUTO 사용을 권장합니다.
AUTO 모드는 온도와 습도는 물론 바람 방향까지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해 주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보유하신 차량의 운전자는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4. 비오는 날, 겨울철 활용도 200%
앞유리 습기 제거 버튼
비가 오거나 외부 온도가 낮으면 차량 외부와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차로 앞 유리에 쉽게 김이 서리는데요. 이럴 땐 가오리연같이 생긴 앞유리 김서림 제거 버튼(FRONT 버튼)을 누르면 쉽게 습기를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
앞유리 김서리 제거버튼을 누르면 외기 유입이 자동으로 선택되며 외부 온도에 따라 에어컨도 자동으로 작동되게 됩니다.
5. 뒷유리 습기도 제거 가능!
뒷유리 습기 제거 버튼
운전할 때 앞만 보는 건 아니잖아요? 양옆, 뒤도 보면서 시야를 확보해야 하는데요. 이럴 때 뒷유리나 사이드 미러에 김이 서려있으면 곤란하죠. 이럴 땐 뒷유리 습기 제거 버튼 (REAR 버튼)을 사용하면 됩니다.
여러분 뒷유리에 새겨져있는 주황색 줄의 용도를 아시나요? 이 주황색 줄은 바로 열선인데요. 뒷유리 김서림 제거 버튼을 누르면 바로 이 열선이 따뜻해지면서 김서림을 제거해줍니다.
앞유리 제거 버튼과 다르게 A/C의 작동이 아닌 열선의 작동을 통해 김서림을 제거하기 때문에 A/C 작동 여부와는 관계가 없답니다.
지금까지 운전자가 실제로 자주 쓰는 공조기 버튼 5가지를 알아보았는데요.
몰라서 못쓸지언정, 알고 있는데 안 쓰면 너무 아깝죠! 앞으로 공조기 버튼, 유용하게 잘 사용해 보세요!
마이클 콘텐츠에 대한
여러분들의 의견이 궁금해요!
자유롭게 제안하기
이번 콘텐츠는 어땠나요?
이 콘텐츠를 공유해 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