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불청객
방전, 성에 대처법!

2022.12.9


안녕하세요 마이클 유저 여러분! 유독 추웠던 한주를 지나 추위가 많이 누그러진 것 같아요.

따뜻해진 지금, 다가올 강추위에 대비해 겨울철 불청객들인 배터리 방전과 성에 대처법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시동이 안걸려요!
배터리 방전

겨울철엔 배터리 방전에 대한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되죠? 영하엔 배터리 성능은 10~20% 수준으로 떨어지는데다 온열 장치 사용마저 증가해 관리가 더욱 어렵습니다. 때문에 방전 예방이 더욱 중요합니다.



겨울철 배터리 방전 예방법

①블랙박스는 보조 배터리에 연결하고, 일주일 이상 방치하지 않기

요즘 운전자 필수품이 된 블랙박스에 '저전압 설정'이 존재하죠? 그렇더라도 겨울철엔 배터리 성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용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거나, 3~4일에 한번 정돈 시동을 걸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②시동 끄기 전 히터 · 라이트 먼저 끄기

전기 장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시동을 끄게 되면, 히터, 라이트 등에서 지속적인 전력소모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하니, 시동을 끄기 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장치를 먼저 끄시길 추천드릴께요.


③배터리 단자 주변 청소

배터리 단자 주변이 청결하지 못할 경우 접촉 불량 및 배터리 성능 저하가 발생 할 수 있다고 하니 강추위가 오기 전에 한번 정리해주세요.



배터리 점프

도움 받을 차량과 점프 케이블이 있다면 '배터리 점프'를 고려해 보세요. 배터리 점프를 시도할 기회가 흔치는 않아서 생소할 수 있겠지만,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①두 차를 가까이 두고 모두 시동을 꺼주세요.

②방전 차량에 (+)극에 빨간 선 집게를 집고, 정상 차량 (+)극에 빨간 선 집게를 집습니다.

③정상 차량 (-)극에 검정 선 집게를 집고, 방전 차량 차체 금속 부분에 검정 선 집게를 집습니다.

④정상 차량의 시동을 먼저 걸고, 고장 차량의 시동을 걸어 10분간 지속합니다.

⑤충전이 완료되면 두 차량 시동 모두 끄고 배터리 (-) 극부터 제거해 주세요.


점프할 때 포인트는 방전 차량 금속 부분에 검정 집게를 집는 것! 한번 방전된 배터리는 수명이 조금씩 줄어든다니, 점프 후 방전이 잦아진다면 배터리 교체를 고려해 주세요.


제대로 알고 제거해요
앞유리 성에

겨울철 야외 주차를 하게 되면, 아침 성에 걱정이 앞서는데요. 성가신 성에 대처법에 대해서도 알아볼까요?



와이퍼 세우고, 덮어주기

유비무환! 겨울철 야외 주차를 하게 되면 와이퍼를 꼭 세우고, 커버를 씌워주세요! 성에가 생기면서 와이퍼가 들러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와이퍼는 꼭 세우고, 골판지나 성에방지 커버를 씌워 예방해요. 이때, 커버가 날리지 않도록 앞문에 끼워서 고정하면 좋다고 하네요.


일부 최신 차종의 히든 타입 와이퍼는 보닛에 걸려 세우기 어려울 수 있는데요. 히든 타입 와이퍼일 경우 시동을 끈 후 5초 내 와이퍼 작동 레버를 유지하면 와이퍼가 중간에 위치해 세울 수 있게 됩니다.


성에를 없야겠다고 무작정 히터를 키시진 않으시죠? 성에 제거를 위해선 에어컨을 작동해 주세요! 성에는 실내외 온도차로 생기기에, 에어컨으로 이 온도차를 줄이면 성에 제거에 도움이 된다네요.

전면 유리창 쪽으로 에어컨 바람을 설정하고, 에어컨을 가장 높은 단계로 켜주세요. 이때 외기 순환 모드로 전환하면 더 효과적이라고 하네요!



알콜 섞은 물 뿌리기

긁어서 제거할 땐 고무로 된 도구로 제거해야 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는데요. 알콜을 사용해 화학적으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고 계신가요?

어는점이 낮은 알콜의 특성을 이용한 방법인데요. 주위에 약국이 없다면, 여분의 워셔액을 스프레이에 담아 뿌려주셔도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네요.




겨울철 차량 운전의 대표 불청객인 배터리 방전과 성에의 대처법을 함께 알아봤는데요?

마이클 유저분들만의 방전, 성에 대처법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함께 공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콘텐츠는 어땠나요?

주변 운전자에게 공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