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이클 유저 여러분! 유독 추웠던 한주를 지나 추위가 많이 누그러진 것 같아요.
따뜻해진 지금, 다가올 강추위에 대비해 겨울철 불청객들인 배터리 방전과 성에 대처법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2022.12.9
안녕하세요 마이클 유저 여러분! 유독 추웠던 한주를 지나 추위가 많이 누그러진 것 같아요.
따뜻해진 지금, 다가올 강추위에 대비해 겨울철 불청객들인 배터리 방전과 성에 대처법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겨울철엔 배터리 방전에 대한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되죠? 영하엔 배터리 성능은 10~20% 수준으로 떨어지는데다 온열 장치 사용마저 증가해 관리가 더욱 어렵습니다. 때문에 방전 예방이 더욱 중요합니다.
겨울철 배터리 방전 예방법
①블랙박스는 보조 배터리에 연결하고, 일주일 이상 방치하지 않기
요즘 운전자 필수품이 된 블랙박스에 '저전압 설정'이 존재하죠? 그렇더라도 겨울철엔 배터리 성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용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거나, 3~4일에 한번 정돈 시동을 걸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②시동 끄기 전 히터 · 라이트 먼저 끄기
전기 장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시동을 끄게 되면, 히터, 라이트 등에서 지속적인 전력소모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하니, 시동을 끄기 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장치를 먼저 끄시길 추천드릴께요.
③배터리 단자 주변 청소
배터리 단자 주변이 청결하지 못할 경우 접촉 불량 및 배터리 성능 저하가 발생 할 수 있다고 하니 강추위가 오기 전에 한번 정리해주세요.
배터리 점프
도움 받을 차량과 점프 케이블이 있다면 '배터리 점프'를 고려해 보세요. 배터리 점프를 시도할 기회가 흔치는 않아서 생소할 수 있겠지만,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①두 차를 가까이 두고 모두 시동을 꺼주세요.
②방전 차량에 (+)극에 빨간 선 집게를 집고, 정상 차량 (+)극에 빨간 선 집게를 집습니다.
③정상 차량 (-)극에 검정 선 집게를 집고, 방전 차량 차체 금속 부분에 검정 선 집게를 집습니다.
④정상 차량의 시동을 먼저 걸고, 고장 차량의 시동을 걸어 10분간 지속합니다.
⑤충전이 완료되면 두 차량 시동 모두 끄고 배터리 (-) 극부터 제거해 주세요.
점프할 때 포인트는 방전 차량 금속 부분에 검정 집게를 집는 것! 한번 방전된 배터리는 수명이 조금씩 줄어든다니, 점프 후 방전이 잦아진다면 배터리 교체를 고려해 주세요.
겨울철 야외 주차를 하게 되면, 아침 성에 걱정이 앞서는데요. 성가신 성에 대처법에 대해서도 알아볼까요?
와이퍼 세우고, 덮어주기
유비무환! 겨울철 야외 주차를 하게 되면 와이퍼를 꼭 세우고, 커버를 씌워주세요! 성에가 생기면서 와이퍼가 들러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와이퍼는 꼭 세우고, 골판지나 성에방지 커버를 씌워 예방해요. 이때, 커버가 날리지 않도록 앞문에 끼워서 고정하면 좋다고 하네요.
일부 최신 차종의 히든 타입 와이퍼는 보닛에 걸려 세우기 어려울 수 있는데요. 히든 타입 와이퍼일 경우 시동을 끈 후 5초 내 와이퍼 작동 레버를 유지하면 와이퍼가 중간에 위치해 세울 수 있게 됩니다.
성에를 없야겠다고 무작정 히터를 키시진 않으시죠? 성에 제거를 위해선 에어컨을 작동해 주세요! 성에는 실내외 온도차로 생기기에, 에어컨으로 이 온도차를 줄이면 성에 제거에 도움이 된다네요.
전면 유리창 쪽으로 에어컨 바람을 설정하고, 에어컨을 가장 높은 단계로 켜주세요. 이때 외기 순환 모드로 전환하면 더 효과적이라고 하네요!
알콜 섞은 물 뿌리기
긁어서 제거할 땐 고무로 된 도구로 제거해야 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는데요. 알콜을 사용해 화학적으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고 계신가요?
어는점이 낮은 알콜의 특성을 이용한 방법인데요. 주위에 약국이 없다면, 여분의 워셔액을 스프레이에 담아 뿌려주셔도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네요.
겨울철 차량 운전의 대표 불청객인 배터리 방전과 성에의 대처법을 함께 알아봤는데요?
마이클 유저분들만의 방전, 성에 대처법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함께 공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