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는 생각보다 정말 많은 기능이 있습니다. 그래서 알면 알수록 더 편하게 운전할 수 있죠. 오늘은 알아두면 생각보다 정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내 차의 '수동변속'모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04.29
자동차에는 생각보다 정말 많은 기능이 있습니다. 그래서 알면 알수록 더 편하게 운전할 수 있죠. 오늘은 알아두면 생각보다 정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내 차의 '수동변속'모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즈음 대부분 운전자들의 차는 자동변속기 차량인데요. 옛날에는 수동변속기 차량이 더 많았으나, 요즘에는 운전자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알아서 프로그래밍 된 값으로 운전을 도와주는 자동변속기 차량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도 운전자가 직접 단수를 조절할 수 있는 '수동모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자동변속기의 수동모드는 크게 2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사진 왼쪽과 같이 변속레버로 조작하는 타입은, D단 상태에서 레버를 왼쪽으로 당긴 후 레버를 위(+)로 밀거나, 아래(-)로 당기면 됩니다. +로 올릴 때마다 단수가 한 단씩 올라가며, -로 내릴 때마다 단수가 한 단씩 내려가죠.
*차종에 따라 조작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진 오른쪽과 같이 스티어링 휠에 수동모드 기능이 달려있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는 '패들시프트'라 불리며, 운전 중 손가락을 이용해 손쉽게 단수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내 차의 수동모드를 쓰는 방법을 알았다면, 언제 쓰는 게 좋을지 알아야 제대로 쓸 수 있겠죠? 수동모드를 쓰면 좋은 다양한 상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내리막길 주행 시
가파르고 긴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풋 브레이크에만 의존하여 내려오시나요? D 단에 둔 채로 풋 브레이크만 사용하여 내리막길을 내려온다면 속도가 빨라지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브레이크를 밟는 상황이 이어지고, 과열로 인해 브레이크가 잘 듣지 않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수동모드를 사용하여 단수를 1단 혹은 2단까지 내리면 엔진에 걸리는 저항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감속되어 훨씬 더 안정적으로 내리막길을 내려올 수 있습니다. 이를 흔히 '엔진브레이크'라고 부르죠.
오르막길 주행 시
가오르막길을 오를 땐 더 많은 힘이 필요합니다. 이럴 때에도 단수를 저단으로 두면 자동차에 강한 힘을 전달해 더 유연하고 힘 있는 주행이 가능합니다.
고속도로에서 추월 시
고속도로에서 부득이하게 추월해야 할 때에도 수동모드에서 1단을 낮추고 가속페달을 밟으면 높은 회전수로 큰 힘을 받아 더 빠르고 안전하게 추월이 가능합니다.
미끄러운 빙판길에서 출발 시
빙판길에서 시동 걸고 출발할 때, 차가 미끄러짐을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차가 1단으로 출발할 경우에는 구동력이 바퀴에 많이 실려 바퀴가 헛돌거나 미끄러질 수 있는데요.
이때 수동모드를 통해 2단으로 설정한 후 서서히 출발해 보세요. 안정적으로 접지력이 생기면서 1단일 때보다 수월하고 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습니다.
추가로 미끄러운 빙판길에서는 풋브레이크를 갑자기 사용하다간 바퀴가 헛돌 수 있으니 풋브레이크 사용을 삼가고 엔진브레이크를 활용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Q. 수동 모드를 사용할 때 엔진 소리가 커지는데 괜찮을까요?
적정 회전수만큼만 올라가도록 세팅되어 있어 크게 무리가 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Q. 수동모드로 변속을 자주 하면 미션에 무리가 가나요?
수동모드 변속이지만 자동변속기와 같은 설정값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상황에 맞지 않는 조작이니 항시 수동모드로 운전을 하는 건 변속기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Q. 가속 페달을 밟고 수동모드를 사용해도 되나요?
수동모드로 전환 시 기어 단수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가속페달을 떼건 밟건 상관없이 전환 가능합니다.
알아두면 정말 자주 쓰는 수동변속기 사용법! 마이클과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잘 익혀두면 운전과 안전의 퀄리티를 높여주는 아주 유용한 방법이니, 주변에도 널리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