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자동차검사'에 대해 알고계시나요? 우리 몸도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처럼 내 차도 안전과 환경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가 의무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검진과 다르게 자동차검사는 '의무적으로'시행되는 것이라 정해진 기간 내에 받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변경되는 자동차검사 과태료와 자동차 검사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2.04.08
여러분은 '자동차검사'에 대해 알고계시나요? 우리 몸도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처럼 내 차도 안전과 환경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가 의무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검진과 다르게 자동차검사는 '의무적으로'시행되는 것이라 정해진 기간 내에 받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변경되는 자동차검사 과태료와 자동차 검사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에 등록된 차량은 모두 정기검사 대상입니다. 하지만 내 차가 신차냐, 상업용 차량이냐에 따라 정기 검사 주기가 조금씩 달라집니다.
자세한 차량별 정기검사 주기는 위 표와 같습니다. 보통 일반 운전자라면 2년 마다 자동차 검사를 하게 됩니다.
자동차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 건 알겠는데, 어디서 어떻게 받아야 할지 모르겠다면? 한국교통안전공단 사이트나 어플을 통해 자동차 검사를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PC나 모바일로 한국교통안전공단 사이버검사소 사이트 (https://www.cyberts.kr/portal/main.do)에 들어간 후, 자동차 검사 예약에서 '자동차검사'를 누른 후 절차에 따라 예약하면 끝입니다!
또는 포털에 '자동차 검사소'를 검색하여 내 주변에 있는 자동차 검사소를 알아본 후 직접 연락한 후 찾아가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자동차검사, 하지만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자동차 검사비용은 차종과 검사 종류에 따라 위와 같이 책정됩니다.
자동차 종합검사도 모든 차량이 받아야 할 자동차 정기검사에 해당합니다. 다만 정기검사에 포함된 검사 항목을 포함하여 배출가스 관련 항목을 좀 더 세밀하게 검사하는 종합검사입니다.
종합검사와 정기검사는 '지역'에 따라 달라집니다. 수도권, 6대 광역시, 인구 50만 도시 중 일부지역 (청주, 천안, 포항, 창원 전주), 대기 환경규제지역에 등록된 차량은 종합검사 대상이고, 그 외 지역에 등록된 차량 및 신차 출고 후 처음으로 받는 검사는 정기검사의 대상이됩니다.
자동차검사는 지정된 자동차 검사일 전후로 30일 이내에 받으면 됩니다. 하지만 이 자동차검사기간을 초과할 시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기존에는 31일 초과일부터 매 3일 단위로 1만원씩 과태료가 부과되었다면 4월 14일부터 자동차관리법 개정이 시행되면 매 3일단위로 2만원씩 과태료가 부가되어 기존대비 무려 2배의 과태료를 내게 됩니다.
또한 자동차검사일 초과기간이 115일 경과하면 발생되는 최대 과태료도 30만원에서 60만원으로 2배 인상됩니다. 자동차 정기검사 이제 꼭 잊지말고 해야겠죠?
자동차정기검사기간이 되면 우편과 메세지로 알림이 옵니다. 검사기간과 예약방법, 준비물 등이 꽤나 자세하게 나와있어서 꽤나 큰 도움이 됩니다.
홈탭에서 [내 차 정보]를 누르신 후 [내 차 정보 가져오기]를 누르시면 자동차 검사일을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 내 차 정보를 가져오신 분이라면? 내 차 정보 화면의 스크롤을 내리면 자동차 검사 기간과 남은 기간을 알 수 있답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정기검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2년마다 돌아오는 자동차 정기검사기간! 까먹을까봐 걱정이시라면? 마이클 앱에 '내 차 정보 가져오기'를 통해 자동차 검사 기간이 등록되어 있다면 마이클에서 자동으로 알림을 보내주니 걱정하지마세요! 그럼 모두 안전 운전하세요!